BIM기반 nD성과물이란?
BIM기반 nD 성과물??
BIM 특강 및 세미나 그리고 포럼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이지만 그게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오늘은 BIM기반 nD 성과물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고 한다. 뭔가 어렵게 만든 정보를 공유하는 거 같아서 아주 살짝 고민되지만, 그래도 이곳에 와주신 분들의 수고를 생각해서 활짝 오픈하려고 한다.^^
먼저 BIM기반 nD 성과물을 "BIM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이해하면 좋을거 같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nD란 3D, 4D, 5D, 6D 등과 같이 연속된 상수를 의미한다. 물론 상수가 높을 수록 더 많은 정보들이 필요하고 복잡해 진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럼 가장 먼저 BIM기반 3D에 성과물이란 3차원 모델을 구축하고,구축된 모델을 통해 시각화 검토,공종간 간섭체크,설계도면 검토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정도의 기술로써 BIM의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기능이라고 볼 수있다

BIM기반 4D 성과물이란 구축되어진 3차원모델에 공정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공정관리 업무에 활용하는 단계의 기술이며, 이를통해 예정/실행 등의 공정 시뮬레이션 검토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BIM기반 5D 성과물이란 3차원 모델에 공정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에 내역(또는 비용)관련 정보를 연계하여 프로젝트의 적산/견산/공사비 산정 업무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아마도 WBS, CBS라는 용어에 대해서 공부한적이 있을텐데, 이러한 정보들과의 연동 또는 동기화라고 생각해도 좋을거 같다.

끝으로 BIM기반 6D 성과물이란 구축되어진 3차원 모델에 시설물,장비등 유지관리 정보를 연계 또는 입력하여 시공 및 준공 후 유지관리 업무에 활용할수 있는 단계이며, 사실상 BIM을 시행하는 최종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nD라는 것은 앞으로의 확장을 내포하고 있는 단어이기 때문에, 기술에 발전에 따라 더 진보된 성과물들이 작성 및 활용될 것이라고 판단된다.